디커플링탈레스 S. 테이셰이라시장 파괴의 주범은 기술이 아닌 고객이다!하버드 경영대학원 테이셰이라 교수가 8년간 수백 개 대기업과 신흥 기업을 찾아다니며 실사례를 분석하는 집요한 연구 끝에 내놓은 경영전략서 『디커플링』. 저자는 대단한 기술도 없어 보이는 우버, 에어비앤비 등 신흥 강자가 시장 판도를 뒤바꾸는 방식에 공통... 이 책 구매하기이 책을 읽은 사람들UXUI 디자이너서비스 기획자(이)가 주로 이 책을 읽었어요.이 책에 남긴 코멘트4개비즈니스 3UXUI 디자이너 2아이디어 1서비스 기획자 1고객 1마케팅 1트렌드 1스타트업/창업 1통찰력 1경쟁이 아닌 고객 문제해결이 핵심서비스 기획자고객마케팅비즈니스SungMin Hur서비스 기획자@sk telecom거의 4년도움됐어요1완독은 쉽지 않지만 읽고나면 반드시 남는 책UXUI 디자이너비즈니스통찰력아이디어여정은UI/UX디자이너@kt alpha약 4년도움됐어요2디커플링 = 전통적으로 기존기업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인접소비 활동 사이의 연결고리를 분리하는 것 또는 깨트리는 것 고객에게 선택지가 많아짐으로써 고객이 권력의 중심으로 바뀌었으며, 고객의 관점에서 그들의 욕구를 이해하고, 소비 흐름에 초점을 맞춰야 살아남을 수 있다. 책은 기존의 가치사슬을 끊고, 고객이 원하는 가치를 파악하여 고객지향적인 서비스를 탄생시킨 기업의 사례와 함께 디커플링으로부터 자신의 사업을 어떻게 지켜낼 것인지에 대한 고찰을 이야기한다. 2019년 - 2020년 초까지 "성공의 핵심이 고객으로 넘어갔다" 에 초점을 맞춘 이 책이 혁신적인 책이라고 느꼈다면, 현재에는 "그 고객의 욕구를 어떻게 파악하고, 그 욕구는 어떻게 변해가고 있는가" 에 대한 훨씬 더 인사이트 있는 책이 많다고 느낀다.
디커플링 = 전통적으로 기존기업이 고객에게 제공하는 인접소비 활동 사이의 연결고리를 분리하는 것 또는 깨트리는 것 고객에게 선택지가 많아짐으로써 고객이 권력의 중심으로 바뀌었으며, 고객의 관점에서 그들의 욕구를 이해하고, 소비 흐름에 초점을 맞춰야 살아남을 수 있다. 책은 기존의 가치사슬을 끊고, 고객이 원하는 가치를 파악하여 고객지향적인 서비스를 탄생시킨 기업의 사례와 함께 디커플링으로부터 자신의 사업을 어떻게 지켜낼 것인지에 대한 고찰을 이야기한다. 2019년 - 2020년 초까지 "성공의 핵심이 고객으로 넘어갔다" 에 초점을 맞춘 이 책이 혁신적인 책이라고 느꼈다면, 현재에는 "그 고객의 욕구를 어떻게 파악하고, 그 욕구는 어떻게 변해가고 있는가" 에 대한 훨씬 더 인사이트 있는 책이 많다고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