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 스타트업 (지속적 혁신을 실현하는 창업의 과학)

에릭 리스

창업가를 위한 과학적 창업 방법론, '린 스타트업'!지속적 혁신을 실현하는 창업의 과학『린 스타트업』. 불확실한 창업 환경에서 지속적 혁신을 실현할 수... 이 책은 이러한 질문의 대안으로, 최근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린 스타트업 운동을 제시한다. 린 스타트업의 창시자인 에릭 리스는 여러...

이 책을 읽은 사람들

(이)가 주로 이 책을 읽었어요.

이 책에 남긴 코멘트

8
앱스토어에 앱을 내보고, 스토어 내의 추천 앱으로 선정도 되었다. 사용자의 반응을 직접 체감한 경험을 앱에 다시 피드백하는 것은 중요한 경험이었다. 그러나 많은 실패 속에서 좌절도 많이 했다. 그래서 정보를 찾기 시작했고, 많은 사람들이 LEAN이나 MVP를 만드는데 주력하고, MVP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래서 읽어보기 시작했다. 시장을 경험해 보면, 다른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설명하지 않는 상황에 직면한다. 보통 사람들이 제품을 좋아하는 이유에 대해서 적합한 기준과 정의가 프로세스에서 말하는 성공적인 제품과 다르다. 사람들이 다시 사용하고, 친구나 가족에게 추천하는 것이 가치라고 생각하면, 디자인의 목표가 달라진다. 이 책은 MVP 뿐 아니라, 제품 전반에 적용할 수 있는 교훈과 팁이 가득하다. 웹이나 커뮤니티, SNS에서 MVP만 너무 강조되는 것이 안타깝다.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린 스타트업의 5가지 원칙이다. 린 스타트업은 5가지 원칙(내가 보기엔 전제)에서 시작한다. 1. Entrepreneurs are everywhere.극심한 불확실성 속에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조직이 스타트업이다. 그래서 린 스타트업은 작은 팀에서 중견회사까지 적용이 가능하다. 2. Entrepreneurship is management.스타트업이 불확실성 속에서 성장하려면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3. Validated learning스타트업은 지속 가능한 사업을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 학습해야 한다. 학습하기 위해 여러 가지로 실험하면서 과학적으로 검증해야 한다. 4. Build - Measure - Learn스타트업은 제품을 만들고, 사용자의 반응을 측정한 후, 제품과 사업의 방향을 전환(Pivot)해야 한다. 이 과정(피드백과 순환)이 빠르게 경험해야 한다. 5. Innovation accounting(혁신 회계라고 되어 있는데, 측정할 수 있는 혁신이 더 부드러운 표현인듯)혁신 회계(innovation account) 성과를 측정하고, 마일스톤을 세팅하며, 기존의 성과 측정 방식이 아닌 스타트업에 적합한 측정 방식을 만들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