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루지 (생각의 역사를 뒤집는 기막힌 발견)

개리 마커스

생각의 오류를 극복할 명쾌한 해답! 23살에 MIT에서 뇌와 인지과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30살의 나이에 종신 교수가 된 스타 학자 개리 마커스 교수가 인간 진화의 장대한 시간을 꿰뚫는 역사적인 통찰을 통해, 근본적으로 새로운 방식으로 인간의 마음을 조망하는 『클루지』. 생각하는 사람으로 잘 살기 위한 소중한 단서, 불완전하지만 고귀한 마음을 최대한 활용하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하는 책이다. 저자는 인간의 마음이 세련되게 설계된 기관이라기보다 클루지(kluge), 곧 서툴게 짜 맞춰진 기구라고 주장한다. 생존 때문에 최선의 선택을 방해받는 진화의 법칙, 즉 진화의 관성 때문에 우리들의 마음과 세계는 불완전하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기억, 신념, 선택, 결정, 언어, 행복 등 인간의 삶을 구성하는 중요한 정신 영역을 두루 살피며, 우리들의 세계 곳곳에서 현명한 일상을 방해하는 생각의 함정을 파헤친다. 우리의 도덕적 선택은 왜 종종 도덕적이지 않으며, 도덕적 직감은 왜 이토록 허술한지에 대한 통찰을 보여주고, 언어의 비밀을 파헤치며 무엇이 우리의 소통을 방해하는지 밝혀낸다. 이어서 우리 내면의 클루지를 활용해서 어떻게 우리들의 세계를 개선시킬 수 있는지, 생각의 함정에서 생각의 무기를 찾아내는 지혜를 전한다. 경험적 과학적으로 증명된 13가지 제안을 담아 생각의 함정을 피하고 생각의 무기를 가다듬을 수 있도록 이끌어준다.

이 책을 읽은 사람들

이 책에 남긴 코멘트

1
일반적인 심리학 책과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다른 많은 책, 심지어 소설에서 조차도 인간의 인지과정이 비합리적이라는 이야기를 수 없이 하고 있다. 내용 자체가 신선하지는 않다. 그저 알고 있던 이야기를 다시 하는 수준이며, 그것을 '클루지'라는 생소한 단어로 포장한 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그리 나쁘지 않다고 생각되는 점은, 그런 당연한 이야기를 일목요연하게 목차화하고, 다양한 실험 결과들을 근거로 인간이 얼마나 다방면에서 비합리적으로 인지하고, 그 인지하게 된 과정 역시 진화의 과정이었고, 그 진화로 인한 반사적인 행동 역시 전부 무시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설명하는 데 있다. [내가 잊지 않기 위한 메모] - 인지적 오류를 만들어낸 '클루지' 확증 편향, 정신적 오염, 닻 내림, 틀 짜기, 부적절한 자기 통제, 반추의 순환, 초점 맞추기 착각, 동기에 의한 추론, 잘못된 기억, 제한된 정신능력, 애매한 언어 체계, 정신장애에 대한 취약성 - 클루지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 1. 대안이 되는 가설들을 되도록 함께 고려할 것 : 문제를 해결하거나 정의내리기 위해 최대한 많은 증거를 기반으로 많은 가설을 내는 연습을 하고, 일상에 적용하기 2. 문제의 틀을 다시 짜고, 질문을 재구성할 것 : 특히 숫자, 단어를 반대로 함으로써 느껴지는 느낌이 다르기 때문에 바꾸면서 다시 생각하는 연습을 할 것 (ex. 0.6퍼센트 유해 = 99.4퍼센트 무해) 3. 상관관계 != 인과관계 4. 표본의 크기를 잊지 말 것 : 어떤 결과를 확인할 때 그 표본이 과하게 작다면, 그 결과를 무조건 믿지 말 것, 정말로 해당 표본을 기준으로 본 결과가 통계적으로 맞을지 고민하기 5. 계획을 짤 때는, 나의 충동과 나의 행동을 미리 예상할 것 <- 나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것 6. 힘들거나 마음이 안 좋을 때 결정하지 말 것 7. 이익과 비용을 비교 평가하기 : 만약 이 비용을 가지고 다른 것도 할 수 있다면 그것이 가져다주는 효용은 무엇인가?도 함께 고민할 것 8. 하나의 사례만을 가지고 결정하지 말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