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토피아정림건축문화재단편집부|김상호|전강수|심소미|배윤경|황지은|남수현|박성태|김성우|박창현|임태병|조병수|이치훈|조재원이 책은 공동체가 와해된 한국 사회의 문제에 대응해온 건축 작업을 소개한 <넥스토피아> 전시와 궤를 같이하는 글들을 엮었다. 도시 공동체 및 토지의 문제를 꼬집고, 기존의 건물을 사회 공동의 자산으로 전환하려는 의미 있는 움직임들을 소개한다.이 책 구매하기이 책을 읽은 사람들분석/전략가(이)가 주로 이 책을 읽었어요.이 책에 남긴 코멘트1개분석/전략가 1한국 1예술 1건축 1<넥스토피아> 전시는 공동체가 와해된 한국 사회의 문제에 대응해 온 건축 작업들을 소개하면서 팽배해지는 '독존주의'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함께 사는 것'의 의미를 환기하고자 했다. - 김상호, <건축신문> 편집장 이들이 정의하는 '넥스토피아'는 오늘날 찾아볼 수 없지만, 기대를 해볼 수 있는 어쩌면 '희망'과도 같은 것이다. 유토피아는 실현될 수 없는 이상만을 의미하는 어휘였다면, 넥스토피아는 우리가 그래도 저 모퉁이를 돌면 실현할 수 있는, 즉 가능성이 있는 '희망'적 세계다. 이 책을 펴낸 정림건축문화재단은, 넥스토피아를 실현할 수 있는 주체는 결국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라고 전한다. 아무리 가능성있는 시도들일지라도, 결국 건축계 사이에서 담론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은 주장들을 공간을 개선하고자 하는 열망이 있는 이들로 인해서 바뀔 수 있다는 희망적 메시지를 제시한다. 개선된 환경에 대한 꿈과 의지가 있으며, 다른 나라의 공공공간에 대한 선례들을 학습하고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은 결국 한국을 넥스토피아로 만들 수 있지 않을까? 분석/전략가한국건축예술YEON분석/전략가3년 이상도움됐어요2
<넥스토피아> 전시는 공동체가 와해된 한국 사회의 문제에 대응해 온 건축 작업들을 소개하면서 팽배해지는 '독존주의'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함께 사는 것'의 의미를 환기하고자 했다. - 김상호, <건축신문> 편집장 이들이 정의하는 '넥스토피아'는 오늘날 찾아볼 수 없지만, 기대를 해볼 수 있는 어쩌면 '희망'과도 같은 것이다. 유토피아는 실현될 수 없는 이상만을 의미하는 어휘였다면, 넥스토피아는 우리가 그래도 저 모퉁이를 돌면 실현할 수 있는, 즉 가능성이 있는 '희망'적 세계다. 이 책을 펴낸 정림건축문화재단은, 넥스토피아를 실현할 수 있는 주체는 결국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라고 전한다. 아무리 가능성있는 시도들일지라도, 결국 건축계 사이에서 담론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은 주장들을 공간을 개선하고자 하는 열망이 있는 이들로 인해서 바뀔 수 있다는 희망적 메시지를 제시한다. 개선된 환경에 대한 꿈과 의지가 있으며, 다른 나라의 공공공간에 대한 선례들을 학습하고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은 결국 한국을 넥스토피아로 만들 수 있지 않을까? 분석/전략가한국건축예술YEON분석/전략가3년 이상도움됐어요2